어깨는 여러 관절이 함께 작용하여 상지에서 큰 운동 범위를 만들어내는 복합적인 시스템이다. 어깨관절 복합체는 손이 당기고, 밀고, 들어올리고, 던지는 동작을 할 수 있는 위치에 오게끔 상지를 지지하는 기능을 한다. .
어깨관절 복합체의 구조
어깨관절 복합체는 4개의 관절들로 구성되어 있다. 관절 상완관절, 견갑흉곽관절, 견봉쇄골관절 흉쇄관절. 이 개의 관절이 통합적으로 작용하여 어깨관절 복합체는 인체에서 가장 운동성이 큰 관절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렇게 큰 운동성을 기-지는 것으로 인해 한 기지 잃게 는 것이 있는데 그것은 바로 안정성이다. 어깨관절에서 어 떻게 안정성을 확보히는지에 대해 이해하기 위해선 어깨의 신체역학과 기능해부희적인 관점에 대한 지식이 필요하다‘
관절와상완관절
관절외장완관절은 볼 & 소켓 관절로 상완골두가 견갑골의 관절와와 만나 형성한 관절이다. 비록 이 관절은 전통적으로 볼 & 소켓 관절로 여겨져 왔지만, 사실 그 모양은 골프 티 위에 있는 골프공에 더 가깝다. 앞서 말했듯, 이러한 모양으로 인해 어깨관절은 매우 큰 운동 범위를 가지지만 그 대신 안정성은 매우 떨어지는 관절이다. 그러므로 GH관절은 회전근개 근육들뿐만 아니라 관절순, 관절낭, 그리고 수많은 인대 구조물들에 의지해 수동적 지지구조를 가진다.
관절순과 관절낭
관절순은 섬유성 연골로 관절와 주위에 부착하여 관절와를 좀 더 깊고 넓게 만들어 상완골두와 관절와 사이의 접촉면을 넓히는 역할을 한다. 관절낭은 상완골두와 관절와를 감싸며 그 크기는 대략 상완골두의 두 배에 달한다. 관절낭은 세 개의 관절외상완인대들과 엮여 있는데, 이 상부관절와상완인대, 중부관절와상완인대, 하부관절와상완인대는 관절(낭)에 안정성과 힘을 제공한다.
회전근개 근육들
회전근개의 근육과 이두근의 장두는 관절낭과 긴밀히 엮여 이 구조에 동적인 성질을 부여한다. 회전근개는 극상근, 극하근, 소원근, 그리고 견갑하근 네 개의 근육으로 구성되어 있다. 회전근개 근육들의 공통적인 역할은(덧붙여 이두근 장두도 함께) 상완골두를 관절와에서 아래로 당기고 안정화시키는 것이다. 반면에 회전근개 각각의 근육들은 고유의 기능을 따로 가지고 있다.
극상근은 극상근와에 기시부를 가지고 그 위를 지나 상완골의 대결절에 정지부를 가지는 근육이다. 일반적으로 극상근은 상완골 외전을 시작히는 역할을 한다고 생각하지만, 사실 극상근은 상완골두를 관절와의 아래 쪽으로 움직이게 함으로써 외전에 기여한다. 어깨삼각근은 상완골두를 위쪽으로 당기는 작용을 하는데, 극상근은 이 힘에 대응한다. 극상근의 약화나 억제작용이 발생하면 어깨삼각근이 상완골을 위로 올리는 힘을 제어하지 못하게 된다. 그 결과 상완골은 위쪽으로 미끄러지는 움직임이 발생하여 극상근건과 오훼견봉궁 아래에 위치한 견봉하점액낭이 상완골과 관절와 사이에 물리게 된다. 극하근은 견갑골 뒷면에 기시부를 가지고, 극상근건이 부착된 곳 바로 아래에 정지부를 가진다. 소원근은 견갑골 외측연에서 시작해 상완골 대결절의 하근 부착부 아래에 붙는다. 극하근과 소원근은 공통적으로 상완골이 60 도에서 90도 사이로 외전하고 있을 때 상완골을 외회전시키는 적용을 한다. 이 작용은 상완골 대결절을 뒤쪽으로 회전시켜 극상근건과 견봉하점액낭을 위한 공간을 만든다. 추가로 극히근과 소원근은 상완골을 아래로 당겨 위로 당기는 삼각근의 힘을 조절한다. 이 두 근육이 약해지면 상완골은 회전되며, 이로 인해 어깨충돌증후군, 즉 극상근건, 견봉하점액낭, 그리고 이두근 장두가 오훼견봉궁에 부딪히게 되는 일이 발생한다. 어깨충돌증후군은 또한 상왼골이 중립 위치에 있지 않고 회전된 자세에서도 발생한다. 이와 같은 패턴을 가진 사람은 외전 60도에서 120도 사이에서 발생히는 통증을 느낄 수 있는데, 이 각도 사이에서 오훼견봉궁과 상완골 대결절간의 공간이 가장 작아지기 때문이다. 이 통증은 일반적으로 120도 이상의 외전 움직임에서 사라지는데 그 이유는 이때 상완골이 아래쪽으로 움직이기 시작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통증과 관련한 팔의 외전각을 ‘통증호’ 라고 부른다.
견갑하근은 종종 회전근개의 한 일원임이 간과되곤 하는 근육인데, 견갑골의 앞면에서 시작해 상완골 소결절에 붙는 근육이다. 이 근육은 견관절와에서 상완골두를 내회전, 하강(상완골두가 올라가지 못하게), 그리고 내전시키는 기능을 한다. 견갑하근은 두 개의 신경 지배를 받는 두 부분으로 나뉘어 있는데, 그 기능 역시 상지의 활동에 근거해 차이를 보인다. 견갑하근은 어깨 안정성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후면 삼각근, 소원근, 극히근이 관절와에서 상완골두를 앞으로 당기는 힘에 대항하여 뒤쪽으로 당기는 유일한 근육이기 때문이다. 이 근육은 다른 회전근개근들과 함께 상완골두를 관절와에 중심화시키는 협력근으로 활동한 다. 견갑하근이 약해지거나 억제되면 광배근이나 대원근과 같이 강력한 내회전근들에 의해 관절와에서 상완골을 앞으로 당기게 되어, 상완골전방활주증후군이 발생한다. 그러므로 견갑하근의 약화 및 억제는 어깨충돌 증후군과 어깨의 이두근건막염을 발생시키는 요인이 될 수 있다.
기술적으론 회전근개의 구성 요소로 생각되지 않지만 이두근은 관절낭을 통한 부착점 때문에 특별히 회전 근개의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다. 이두근 장두는 관절상결절 위에 위치한 견관절와순의 상부에서 시작해 관절낭을 가로질러, 이두근구를 지나 요골조면에 부착하는 근육이다. 팔꿈치에 작용히는 기능과 더불어 이두근은 상완골 앞쪽의 안정성에 기여한다. 이두근건은 상완골의 이두근구를 따라 지나며, 싱완골이 움직일 때 건의 주행경로를 따라 움직이게 한다. 견갑골의 전방 기움과 상완골의 내회전 상태와 같은 변화된 자세는 이두근구에서의 이두근건 움직임에도 변화를 초래한다. 이두근건이 이두근구를 벗어나 움직여 만성적으로 자극이 일어나면, 이두근건의 활액막에서 염증을 일으켜 일명 ‘이두근건막염’ 이 발생하게 된다.
'물리치료학 전문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어깨관절 복합체 - 3 (0) | 2022.09.06 |
---|---|
어깨관절 복합체 - 2 (0) | 2022.09.05 |
근막의 이해 (0) | 2022.09.05 |
근육의 이해 - 2 (0) | 2022.09.05 |
근육의 이해 - 1 (0) | 2022.09.04 |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