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물리치료학 전문지식

어깨관절 복합체의 근육들

by 갬성잉 2022. 9. 6.
728x90

 

어깨의 많은 근육들은 어깨의 움직임 범위와 즉각적인 반응이 요구되는 상황에 안정성을 제공하면서 동시에 이러한 세밀한 조절을 유지해야 한다. 이미 어깨관절 복합체를 조절하는 여러 근육들에 대하여 설명했지 만, 이 어깨의 근육들은 그 특유의 부착점에 따라 척추견갑근, 흉곽견갑근 척추상완근, 흉곽상완근, 견갑상완근 군으로 분류할 수 있다.

 

척추견갑근

척추견갑근들은 척추에서 시작해 견갑골에 붙는 근육들이다. 이 근육들로는 견갑거근, 상부 - 중부 · 하부 승모근, 대소 능형근이 있다. 견갑거근은 C1~ C4 횡돌기 뒷면에서 시작하여 견갑골 상각에 부착한다. 이 근육은 어깨관절 복합체를 올릴 뿐만 아니라 목의 동측 굴곡과 회전을 만드는 근육이다. 그리고 상부 승모근의 협력근으로, 어깨를 올리는(으쓱하는) 동작을 돕고 외측으로 굴곡한다. 그러나 견갑거근은 상부 승모근이 견갑골을 상방 회전히는 반면 하방 회전하는 작용을 할 뿐만 아니라, 상부 승모근이 목을 반대측으로 돌리는 반면 이 근육은 동측 회전을 시키는 차이를 보인다. 이 두 가지 기능으로 인해 머리, 목, 어깨에서 움직임이 일어나는 동안 부드럽고, 조직적인 동작이 날 수 있는 것이다. 능형근(대능형 , 소능형근)은 항인대, 극상인대, 그리고 C7~T5 극돌기에 부착되어 있는 근육이다. 능형근은 견갑골 내전과 하방 회전을 하는 기능을 하고 따라서 견갑거근의 협력근, 그리고 상부 승모근의 길항근으로 작용한다. 이 근육은 중요한 견갑 흉곽 측 안정화근이다.

중부 승모근은 C7에서 시작해 견봉과 견갑극 상연에 부착한다. 이 근육은 견갑골의 내전과 내측연의 안정화를 시키는 기능을 하며 따라서 능형근의 협력근으로 작용한다. 하부 승모근은 T12 의 극돌기와 극상인대뿐만 아니라 흉요근막에서 시작하여 견갑골극 내측 끝단에 형성된 삼각형 모양의 조변에 부착한다. 이 근육은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바로 견갑골을 하강시키는 것이다. 즉 상부 승모근, 견갑거근, 그리고 능형근과 반대되는 작용을 한다. 견갑골 상방 회전에서 이 근육은 상부 승모근과 전거근의 기능적 길항근으로 기능하고 이에 따라 견갑거근, 능형근, 그리고 소흉근과 반대되는 작용을한다 척추견갑근들은 고정된 팔에 대하여 척추를 반대쪽으로 돌리는 작용을 하며, 이를 이용해 기능부전적인 척추 굴곡들을 개선시키는 방법을 마련할 수 있다.

 

흉곽견갑근

전거근과 소흉근은 견갑골에서 흉곽에 직접적으로 부착된 단 두 개의 근육으로 각각 특수한 역할을 한다. 물론 어떤 근육도 단독으로 작용하진 않지만, 전거근은 아마 견갑골 안정화에 있어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근육일 것이다. 반면에 소흉근은 견갑골 전방 기움과 그로 인해 어깨를 앞으로 밀게 되는 자세를 만드는 데 가장 큰 역할을 하는 근육이다.

전거근은 1~9번째 갈비뼈에서부터 견갑골의 앞쪽 내측연에 붙은 근육으로 흉곽에서 견갑골을 안정화시키는 데 가장 큰 역할을 하는 근육이다. 더불어 이 근육은 견갑골을 상방 회전과 외전을 시킴으로써 오버헤드 동작을 돕는다. 아래쪽 섬유는 견갑골 상방 회전시 견갑골의 아래 면을 흉곽에 고정시키는 중요한 기능을 한다. 만약 이러한 섬유들이 약해진다면, 팔을 머리 위로 들 때 견갑골이 위로 올라가게 되고, 다시 팔을 내릴 때 익상 견갑골의 모습을 띠게 된다. 또한 상지가 고정된 상태에서 전거근은 몸통의 웅직임을 돕는다. 소흉근은 오훼돌기에서 기시하여 3~5번 늑골에 부착한다. 소흉근은 견갑골을 안정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소흉근이 과활성화되고 이것이 하부 승모근과 전거근에 의해 억제되지 않는다면, 소흉근은 견갑골을 전방으로 기울게 하고 어깨가 앞으로 쏠린 자세를 만든다. 추가적으로 소흉근은 부 호흡근 중 하나이다. 제대로 된 흉곽 호흡이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소흉근은 흉곽을 올리기 위해 과활성화될 것이다. 이로 인해 흉곽이 올라간 자세를 취하며 흉골각이 넓어지게 되는데, 이것이 바로 기능부전이 있는 호흡을 하는 사람의 모습이다. 우리는 하루에 약 22,000 번의 호흡을 히는데 임상적으로 호흡의 기능부전은 소흉근뿐만 아니라 사각근, 그리고 흉쇄유돌근의 과긴장을 일으키는 가장 흔한 원인이다. 크롤링처럼 팔이 고정되어 있는 경우에 고정된 상완골두로 견갑골을 당기는 주변 근육들의 작용을 돕는다.

 

척추상완근

광배근은 척추와 상완골을 직접적으로 연결하는 유일한 근육이다. 미치 고관절의 장요근이 가진 부착관계와 유사할 것이다. 이 근육의 기시점은 골반, 흉요근박, 그리고 요추와 흉추의 추체에 있으며, 상완골에 부착한다. 이 근육의 작용은 상완의 신전, 내전, 내회전이지만 그 역할 범위는 훨씬 광범위하다. 광배근에서 비스듬하게 가로지르는 섬유는 하부 승모근의 아래쪽 섬유들과 평행하게 주행하며, 견갑골의 아래쪽 면과 근막적 결합을 루고 있다. 이 사선 섬유는 견갑골을 아래로 당기며 흉곽을 둥글게 한다. 이 작용은 전거근과 하부 승모근의 작용이 결합한 것과 유사하다.

광배근은 후방 경사사슬의 한 부분으로 천장관절, 요추, 그리고 흉곽의 주 안정화근이며, 그 역할은 몸통과 척추의 회전 동작의 가속과 감속 작용이다. 광배근이 긴장 그리고 단축되면 골반 서는 전방 기움, 그리고 흉요추 이행부에서는 과신전이 일어나게 된다. 이 근육은 결절사이고랑의 내측에 부착점을 가지고 있어서 견갑골의 안정성이 떨어지면, 견갑골을 당겨 전방 기움, 하강 상태로 만들기 때문에 교정운동을 시작하기 전에 종종 이완시켜야 할 필요가 있다. 닫힌 시슬 운동 혹은 한쪽 팔이 고정된 상태에서 광배근은 몸을 손 쪽으로 당기며 척추를 반대쪽으로 회전한다.

 

 

728x90

'물리치료학 전문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어깨관절 복합체 - 5  (0) 2022.09.06
어깨관절 복합체 - 4  (2) 2022.09.06
어깨관절 복합체 - 3  (0) 2022.09.06
어깨관절 복합체 - 2  (0) 2022.09.05
어깨관절 복합체 - 1  (0) 2022.09.05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