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물리치료학 전문지식

어깨관절 복합체 - 5

by 갬성잉 2022. 9. 6.
728x90

상부운동 역학사슬에서 흔히 발생하는 부상들

 

어깨불안정증후군

어깨전방불안정증후군은 어깨 안정성에 영향을 미치는 많은 조건들을 포함하고 있다. 이 조건들은 다양한 방향에서의 불안정성(한 방향 이상에서의 불안정성)과 아탈구/탈구를 포함한다. 불안정이 발생하는 가장 흔한 방향은 전방이며, 이것은 전방 어깨 탈구가 후방 어깨 탈구보다 더 많이 발생하는 사실과 일치한다. 어깨 불안정성은 팔을 지나치게 뻗은 상태로 넘어지거나 교통사고와 같은 외상성 원인으로 인해 발생하기도 하지만, 더 많은 비중을 차지히는 원인은 운동 조절 능력의 변화이다. 이 변화는 상완 골두가 관절와 내에서 원래 있어야 하는 자리보다 앞쪽에 위치함으써 발생하게 된다. 비록 느슨해진 관절낭과 고유수용성 감각의 손상이 원인으로 제시되어 왔으나, 변화된 근육 활성화 패턴 역시 전방 불안정성을 만드는 것으로 보인다.대흉근, 상완이두근 단두, 오훼완근, 전면 삼각근, 그리고 견갑하근은 어깨관절의 앞쪽을 지지하고, 이 근육들은 전방 불안정성을 가진 사람들에서 억제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전방 불안정성은 어깨충돌증후 군뿐만 아니라, 극상근과 관절와순 열상을 일으키는 원인으로 여겨진다.

 

어깨충돌증후군

어깨충돌증후군은 일반적으로, 견봉 아래로 지나가 상완골 대결절에 부착히는 극상근건, 견봉돌기 앞부분과 오훼견봉인대의 아래에 위치한 견봉하점액낭 그리고 견봉 돌기 앞부분의 아래를 지나 관절외상순에 부착하는 상완이두근 장두와 연관된 증후군이다. 어깨충돌증후군은 견갑골 운동이상증과 견갑골의 안정성 상실, 상방 회전, 그러고 후방 기움과 관련 있다. 어깨충돌증후군은 60도에서 120도 사이의 어깨 외전 및 굴곡의 어깨 움직임 도중에 발생할 수 있는데(이 지점은 견봉하 공간이 가장 좁아지며 어깨의 지레 팔이 가장 길어지는 부분이다), 이 범위에서 일반적으로 사람들이 가장 많은 증상을 느끼게 된다. 추가적으로 회전근개 근육들이 억제되어, 오버헤드 동작 중 상완골두를 하강시키는 능력이 감소히는 것 역시 어깨충돌증후군을 일으키는 원인이 될수있다. 어깨충돌증후군이 없는 사람과 비교했을 때 이 증후군이 있는 사람에게서 팔을 어올리는 동안 견갑골 후방 기움의 감소와 내회전의 증가가 보인다. 회전근개 건들의 열상은 어깨충돌증후군의 원인이기도 하며 그 결과로도 나타난다. 흥미롭게도 임상적 증상이 없는 96명을 대상으로 한 Sher의 연구에서, 34% 시람들이 통증을 호소하지 않았음에도 MRI 결과 회전근개의 열상을 진단받았음을 보고했다.

 

관절순 열상

관절순 열상은 팔을 뻗은 채로 넘어지는 것과 같은 외상에 의해 흔히 발생한다. 또한 불안정한 견갑골뿐만 아니라, 상완골두의 부적절한 중심화작용과 관련한 반복적인 어깨 부상에서 흔히 보인다. 입증되진 않았지만, 관절순 열상을 가진 환자에게서 상완골두 전방 이동 움직임 패턴이 흔히 발견되는 것으로 보인다. 뒤쪽 관절 낭의 긴장, 후면 회전근개 근육계의 구축, 그리고 견갑하근의 억제(상완 후방 활주작용 약화)는 또한 관절와상완 관절의 관절순 열상의 요인이 된다.

 

이두근건증

이두근 건증은 이두근 건의 퇴행성 변화이다. 이두근 건증은 종종 건에 염증이 생겨 발생하는 이두근 건염과 흔동된다. 이두근 건증은 조직의 퇴행성 변화와 건섬유의 콜라겐화로 두꺼워짐이 발생하는 것이며, 일반적으로 과사용으로 인해 발생한다. 이두근 건증은 보통 견갑상완 메커니즘 손상과 상완 골두 전방 치우침 위치와 함께 발생한다. 이두근 건은 이두근 결절구 안에 위치하여 관절와에서의 상완골 전면의 안정화 기능을 한다. 자세의 변화(견갑골 전방 기움, 뒤쪽 관절낭의 긴장으로 인한 관절와 내에서의 상완골두 전방 쏠림, 그리고 상완골두가 앞으로 쏠리는 것을 막는 근육들의 억제)는 상완골 전면과 이두근 건과 마찰을 발생 시킨다. 바이셉스 걸, 벤치 프레스, 딥스와 같은 운동들을 과도하게 하는 것뿐만 아니라, 적절한 관절외상완관절 위치 관계가 성립되지 않은 상태에서 수행하는 어떠한 상지 운동들이라도 두근 건에 과부하를 초래할 수 있다. 미세하게 닮거나 벗겨진 이두근 건은 통증과 상완골두 안정성을 만드는 힘의 감소를 가져올 수 있다.

 

흉곽출구증후군

흉곽출구증후군은목 에서부터 전, 중 사각근, 쇄골 혹은 소흉근 아래를 나와 팔로 내려가는 상완 신경총이 눌려서 발생하는 증후군이다. 이 증후군의 증상은 팔 또는 네 번째에서 다섯 번째 손가락에서의 방사통 증후 양상(저리고 아린 감각)이 특징이다. 흉곽출구증후군은 다음과 같은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한다.

• 호흡 패턴의 변형으로 인한 사각근, 흉쇄유돌근, 그리고 소흉근과 같은 부속 호흡기근 사용을 선호

• 얀다의 상지교치증후군과 견갑골상방회전증후군과 같은 자세적 변화

• 취침 중 팔을 전하고 머리 밑에 두는 자세

• 컴퓨터 앞에서 일하는 것과 같은 반복적인 스트레스로 인한 부상

• 벤치 프레스, 딥스, 바이크 라이딩과 같이 오랫동안 몽통과 어깨를 앞으로 향하게 하는 자세로 부하를 주는 운동들

 

내외측 상과염

내외측 상과염은 ‘골퍼 엘보’ 또는 ‘투구 엘보' 그리고 ‘테니스 엘보' 로 흔히 알려져 있는데, 골프, 테니스, 공 던지기를 포함한 다양한 동작들로 인한 과사용으로 발생하는 부상이다. 컴퓨터나 전화 업무 혹은 뜨개질과 같은 활동을 하는 사람들에게서도 흔히 이 부위에 충격이 축적돼 발생하기도 한다. 외측 상과염의 잠재된 원인 중 하나는 C7 신경근에서 나오는 경추 신경근 병증이다. C7 신경은 삼두근과 팔의 신전근에 신경 분포돼 있으며, 목 안에 있는 공간 점유 병변에 의한 자극은 외측상과염과 유사한 증상을 만든다.

 

728x90

'물리치료학 전문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관절 복합체 - 2  (2) 2022.09.07
고관절 복합체 - 1  (6) 2022.09.07
어깨관절 복합체 - 4  (2) 2022.09.06
어깨관절 복합체의 근육들  (0) 2022.09.06
어깨관절 복합체 - 3  (0) 2022.09.06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