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물리치료학 전문지식

고관절 복합체 - 4

by 갬성잉 2022. 9. 7.
728x90

고관절과 골반의 측면 안정성 메커니즘

 

1.측면 안정성 메커니즘의 근육들

대둔근

대둔근은 인체에서 가장 큰 근육으로 움직임에서 중요한 기능적 역할을 한다. 대둔근은 SI]에 수직적으로 붙어, SI]를 압박하는 섬유를 가진 유일한 근육이다. 대둔근의 부착점 중 뼈에 붙은 부분들(장골, 천골, 미골)을 제외하면, 이 근육은 근막적으로 흉요근막, 천장골인대, 그리고 둔근 조면에 부착한다. 이 근육의 부착부 중 ITB 의 뒤쪽에 붙는 부분은 안정화와 하지의 회내 동작 조절에서 핵심적인 할을 한다. 둔근은 흉요근막을 해 반대측에 연결되어 방사선사슬의 한 부분으로 기능하여, SI]를 압박 하면서 척추와 상 · 하지 사이의 회전력을 전달한다. 깁슨의 연구에서는 심부 미추골 섬유들은 관골구에서 대퇴부를 뒤쪽 방향으로 당기는 작용에서 중심축이 된다고 제시했는데, 이때 대퇴부를 뒤로 당기는 작용은 고관절의 기능적 통제와 중심화작용을 위한 것이다.

 

중둔근

중둔근은 장골 바깥면의 잎쪽 2/3 부분에서 시작하여 대퇴골 대전자에 붙는다. 중둔근은 세 부분으로 나뉘어 둔근 근막으로 엮이는데, 이는 마치 어깨의 중간 삼각근과 유사한 기능을 한다. 중둔근은 일차적으로는 고관절의 외전 운동을 하며, 한 다리로 선 자세에서 전두면의 안정화에 기여하는 주요 안정근 중 하나다. 중둔근 앞쪽 섬유는 고관절 회전과 굴곡을 담당하고, 뒤쪽 섬유는 외회전과 신전 동작을 돕는다. 중둔근이 억제되면 골반의 전두면 안정성에서 이를 대신하기 위해 대퇴근막장근이 활성화된다.

 

소둔근

장골 바깥 면, 중둔근 아래에 위치하며 대퇴골 대전자와 고관절 관절낭에 부착한다. 소둔근은 고관절의 외전과 내회전을 돕고, 대퇴골두가 위와 앞쪽으로 당겨지는 것을 막으며, 관절낭을 위쪽 방향으로 당겨 고관절 외전하는 동안 충돌이 일어나는 것을 막는다.

 

대퇴근막장근

대퇴근막장근은 스쿼트나 런지와 같은, 그리고 특히 비대칭적 발 위치에서 기능적 움직임을 할 때 중요한 작용을 한다. 이 근육은 장골의 전측면에서 시작하여 ITB 전면에 부착한다. 대퇴근막장근은 측면 안정화 메커니즘의 한 부분으로, 동측 중둔근과 소둔근, 그리고 반대측 요방형근과 함께 LPH 복합체 전두면의 안정성에 기여한다. 보행주기 중 발꿈치가 지면에 닿는 단계 동안 TFL은 (ITB 뒤쪽 변에 방대한 부착 점을 갖고 있는) 대둔근의 뒤로 당기는 힘에 대응한다. 또한 TFL은 보행주기 중 유각기 동안 고관절 굴곡을 하는 장골근을 돕는다. TFL은 종종 장골근 또는 장요근이 약화될 때 지배적인 고관절 굴곡근이 된다. 그리고 중둔근이 약화되거나 억제됐을 때 전두면상 안정근으로 과활성화되기도 한다. 이 근육은 고관절 내회전근 역할도 하므로, 만약 앞서 설명한 기능 중 하나라도 지배적인 작용을 하게 된다면, 한 다리로 서는 자세에서 고관절 내회전되려는 경향이 증가하여, 보상적으로 하지 회내 상태의 정도가 커질 수 있다. 고관절이 내회전함에 따라 슬개골과 대퇴의 외측 근막을 외측으로 당기려는 경향이 커져서 종종 슬개골 주행 기능부전과 장경인대 증후근으로 이어지기도 한다. 고관절이 최대로 외회전한 상태에선 ITB가 대퇴골 외측 앞쪽으로 움직이면서 TFL은 무릎의 신전근 기능을 한다. 

 

이상근과 고관절의 심부 회전근들

이상근은 보행 단계 중 부하가 실리는 시기(회내)에 일어나는 고관절 내회전 움직임을 감속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비록 이상근의 부착점이 천골의 앞쪽 면과 대퇴골 대전자 부위지만, 천장관절을 안정화시키는 중요한 기능을 한다. 엉덩이 조임이라 불리는 심부 회전 안정화 전략을 사용하는 사람들에게 뺏뺏한 이상근은 천장관절의 기능부전을 일으키는 흔한 원인이 된다. 심부 고관절 회전근은 이상근, 상하 쌍자근, 내외 폐쇄근, 그리고 대퇴방형근을 포함하고 있다. 비록 고관절 외회전은 주로 이상근과 대둔근의 작용으로 일어나지만, DHR이 작용하는 부분 도 있다. DHR의 ‘진짜 기능에 대한 최신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은 내용이다. 이 근육들의 사이즈와 위치를 고려해볼 때, DHR이 골반 바닥의 지지와 천장관절과 고관절의 로컬 안정화근으로 중요한 역할을 한다. 한 문헌은 내폐쇄근이 골반의 장기들과 LPH 복합체의 안정성을 제공하는 골반 기저부의 기능을 한다고 밝혔다. 심부 회전근은 부적절한 LPH 조절 능력 때문에 과활성화되는데 이는 임신 외상 수술 그리고 골반통 증증후군에 의해 부정적인 영향을 받은 로컬 안정화시스템의 결과이다. 과활성화된 심부 회전근에 의한 지나친 압박은 고관절중심화작용의 변화를 초래한다. 매년 미국에서는 약 250,000 건에 달하는 고관절 치환술이 행해지는데, 고관절중심화작용의 상실이 그 직접적인 원인이 된다. 

 

중둔근과 내전근 불균형과 외반슬

외반슬 움직임 결함을 가진 고객의 발과 발목 복합체가 얼마나 잘 부하를 지지하고 있는지 보기 위해선 맨발인 상태로 진단해야 한다. 만약 고객이 싱글 레그 스탠스 자세에서 발 세 지점의 내측 요소

를 유지하는 것과, 알련의 기능적 평가들(스쿼트, 런지, 혹은 보행)을 수행하는 것을 어려워한다면, 발과 발목 복합체에서 기능부전이 발생할 수 있음을 의심해야 하며 고관절 내전근 스트레칭과 외전근 강화에 앞서 이 불균형들을 해결해야 한다.

 

728x90

'물리치료학 전문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하지 패턴에서의 기능부전  (10) 2022.09.07
고관절 복합체의 근육  (6) 2022.09.07
고관절 복합체 - 3  (4) 2022.09.07
고관절 복합체 - 2  (2) 2022.09.07
고관절 복합체 - 1  (6) 2022.09.07

댓글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