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물리치료학 전문지식

하지 패턴에서의 기능부전

by 갬성잉 2022. 9. 7.
728x90

하지 패턴에서의 기능부전

일상적인 하지 움직임 패턴에서 여러 가지 움직임

기능부전을 찾을 수 있다. 이러한 기능부전의 모습에는 척추의 중립적 위치 안정성과 몸을 앞으로 숙일 때 골반을 전방으로 회전시키는 능력의 손실, 전두면의 고관절안정성 손실, 안정적인 골반의 위치(수직, 수평에서의 바른 위치) 상실, 그리고 편측 혹은 한 다리로 선 자세를 취할 때 안정성 손실이 있다.

 

1.  중립 척추 안정성 손실

몸을 앞으로 숙일 때 요부 골반 정렬을 중립 위치로 유지하는 것을 어려워하는 모습은 흔하게 보인다. 사람들은 런지 자세로 앞을 향해 몸을 뻗을 때 흔히 자신의 척추에서 가장 잘 움직이는 부분을 통해 몸을 구부린다. 이 부위는 고객이 이미 통증을 느끼고 있는 곳이거나 앞으로 통증이 발생할 수 있는 곳일 가능성이 있다. 예를 들면 골반의 충분한 전방 회전이 나오지 않기 때문에 흉추를 굴곡하고 있는 사람이 있으면 이 사람에게 몸을 앞으로 뻗는 동안 고개를 들어 앞을 보라고 했는데 이때 경추 흉추 부위의 과신전이 발생함을 확인할 수 있다.

 

2. 고관절 안정성 손실

고관절 안전성 손실은 대부분의 펀측성 움직임 패턴에서 흔하게 나타나며 전두면에서 쉽게 관찰된다. 외측 안정화 사슬의 기능은 전두면에서의 안정성을 유지하는 것이다. 이 움직임 면에서 고관절 위치는 체중이 실린 다리의 안쪽에서 유지되어야 한다. 만약 체중이 체중을 지탱하는 다리로부터 지나치게 바깥으로 이동하게 된다면 불안정성이 나타나게 된다.

 

3. 안정적인 골반 위치 상실

골반이 안정적인 위치에 놓이면 내측 안정화 사슬에 의해 골반 골절이 유지되며, 장골능의 높이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동시에 고관절, 무릎, 발목과 발 복합체가 정렬을 유지하게 된다. 만약 내측의 조절 능력을 상실하게 되면, 체중을 지지히는 쪽으로 골반은 외측 이동을 하고 이어서 다리는 내회전, 내전 상태가 된다. 안정적인 골반 위치는 기능적인 패턴이 이어지는 동안 유지되어야만 한다. 고객은 스플릿 스쿼트 자세로 몸을 내리는 동안 자신의 손을 골반 위에 얹어 그 위치를 확인하도록 한다.움직임 조절 능력을 상실하게 되면 골반은 앞으로 내민 다리 쪽으로 기울고 이동하게 된다.

 

교정: 골반을 뒤로 당겨 자세를 잡기 위해 심부 대둔근과 심부 고관절 회전근들을 활성화하도록 지시한다. 만약 고객이 이 자세를 고치기 힘들어 힌다면 대둔근의 아래쪽 섬유들과 심부 외회전근들이 활성화 되어야할 수도 있다. 안정적인 골반 위치는 또한 싱글 레그 & 마칭 브릿지와 같은 싱글 레그 움직임 패턴을 사용하는 동안에도 반드시 유지돼야 한다. 싱글 레그 브릿지를 하는 동안 골반 높이가 어떻게 유지되고 있는지 보라. 피곤한 상태에선 조절 능력을 상실하게되고, 골반은 다리를 든 쪽으로 기울게 된다. 고객이 자신의 손을 골반에 놓고 코어를 활성화시켜 최적의 골반 위치를 유지하도록 지시한다. 트레이너나 치료사는 고객이 이상적인 고관절 정렬을 유지하게하기 위해 고객의 측 안정화 사슬(발의 내측 기둥, 내측 광근, 내전근 복합체, 대둔근의 내측 심부)을 연결시키게 해야 한다. 만약 이러한 지시 사항들로 의미 있는 변화를 만들어낼 수 없다면, 트레이너나 치료사는 활성화 전략을 시도해볼 수 있을 것이다. 만약 이 전략이 도움을 줄 수 없다면, 그땐 고객이 충분히 패턴을 안정시킬 수 있을 때까지 운동 난이도를 낮추도록 한다.

 

한 다리로 선 자세의 안정성 상실

많은 고객들이 체육관에서 편측성 하지 움직임 패턴 운동들을 지도받는다. 그러나 불행히도 대부분의 고객들은 적절한 지도 를 받지 못한 채 운동을 하거나 이러한 자세를 취하고 운동하기에 충분한 안정성을 가지고 있지 않다. 피트니스와 재활 관련 업계에선 일상 생활과 스포츠 활동이 싱글 레그 동작에서 주로 일어나기 때문에 싱글 레그 움직임 패턴에 기반한 운동을 해야 한디고 이야기힌다. 그러나 고객들과 환지들은 자신들이 한 다리로 활동할 수 있다고 스스로 생각할 뿐 실제 이 능력에 대한 교정 혹은 평가를 받는 일이 거의 없다. 디음 가지 사항을 통해 한 다리로 체중을 지지하는 동안 불안정성이 나타나는지를 확인해볼 수 있다.

 

1. 보장작용을 통반하지 않는 트렌델렌버그 징후 : 트렌델렌버그 징후의 양성 반응은 체중을 지지하고 있지 않는 쪽 또는 고관절 굴곡 쪽 골반이 아래로 떨어지는 것이다. 이로 인해 일반적으론 고관절이 외전 및 내회전되고 그 결과 패션 모델들처럼 엉덩이를 실룩거리는 보행을 보인다. 이러한 보행 패턴은 무릎의 반월판과 내측 측부인대, 그리고 전방십자인대에 손상을 준다.

2. 보상작용을 동반한 트렌델렌버그 징후 : 보상작용이 동반된 트렌델렌버그 보행은 고객이 부족한 안정성을 보상하기 위해 몸통을 지지하는 다리 쪽으로 이동시켜 발생한다. 이러한 시람은 일반적으로 자신의 몸통을 전두면에서 과도하게 흔들며 걷는 오리 걸음을 보인다. 

3. 엉덩이 조임과 고관절 전방 전단 : 이러한 상태는 고객이 한 다리로 선 자세에서 스스로 안정성을 만들어내기 위해 심부 고관절 회전근을 과도하게 수축하여 장골을 후방으로 회전하게 되고, 관절구에서 고관절이 전방으로 나가게 되는 것이다. 이런 경우 선 자세에서 골반 옆이 크게 패여 있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이 패임은 체중을 지탱하는 다리 쪽으로 옮기면 더 커진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사람들은 자신의 무게 중심을 지탱하는 다리의 뒤쪽에 고정하고 동시에 복근이 긴장되어 있음을 보인다.

.4.  발가락 조임 : 과도한 발가락 조임은 고객들이 안정화를 위해, 발의 내재근들이 아니라 장지굴근과 다리의 후방 구획 근육들을 과도하게 활성화시켜 나타나는 모습이다. 이와 같은 과도한 활성화작용이 만성화된다면 편안히 쉬고 있는 상태에서도 발가락 관절들의 굴곡 현상이 일이나 길퀴발 혹은 망치발가락 모양을 보인다.

 

728x90

'물리치료학 전문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하지에서 흔히 일어나는 부상 - 2  (16) 2022.09.08
하지에서 흔히 일어나는 부상 - 1  (4) 2022.09.08
고관절 복합체의 근육  (6) 2022.09.07
고관절 복합체 - 4  (2) 2022.09.07
고관절 복합체 - 3  (4) 2022.09.07

댓글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