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물리치료학 전문지식20

교정운동 - 2 2022.09.21 - [물리치료학 전문지식] - 교정운동 - 1 교정운동 - 1 교정운동 움직임 패턴을 개선하기 위한 핵심은 이상적인 정렬을 확립하고 적절한 근막 연계를 활성시키며, 기능적인 움직임 패턴 동안 관절의 중심화작용을 유지하는 것이다. 이러한 요소들은 honeymuscle.com 이어서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새로운 움직임 패러다임의10가지 지표들 3. 고객에게 본인의 움직임 전략을 교육한다. 고객에게 본인만의 움직임 전략을 교육하는 것은 인지를 개발하는 것으로부터 시작된다. 인지는 고객의 고유수용 감각을 개발시켜 결과적으로 고객의 현재 움직임 패턴에 대한 운동감각성 집중을 향상시킨다. 교육은 고객으로 하여금 이러한 패턴을 향상시켜야 하는 이유와 방법에 대한 더 깊은 이해를 갖도록 도울 수 .. 2022. 10. 12.
교정운동 - 1 교정운동 움직임 패턴을 개선하기 위한 핵심은 이상적인 정렬을 확립하고 적절한 근막 연계를 활성시키며, 기능적인 움직임 패턴 동안 관절의 중심화작용을 유지하는 것이다. 이러한 요소들은 근막적인 협력근 사이에서 최적의 길이와 장력의 관계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관절 구조물에 가해지는 스트레스를 최소화하면서 효과적인 움직임 패턴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해준다. 근골격계 통증의 가장 흔한 원인이 습관적인 움직임 패턴임을 상기하더라도, 환자나 고객들은 정확한 움직임을 구성하는 요소가 무엇인지 반드시 이해하고 있지는 못한다. 다시 말하자면, 그들은 움직임에 관해서 그들이 아는 것만을 알고 있을 뿐 그들이 알지 못하는 것은 모른다는 것이다. 교정운동의 목표는 그들이 자신의 잘못된 패턴을 인식할 수 있도록 돕고, 중심화된 관.. 2022. 9. 21.
하지에서 흔히 일어나는 부상 - 2 하지에서 흔히 일어나는 부상 햄스트링 좌상 햄스트링 좌상은 달리기, 스프린팅, 점핑과 같은 동작을 하는 선수들에게 영향을 미치는 흔한 부상이다. 햄스트링이 당겨지거나 혹은 정확히 말해 좌상을 입은 상태는 폭발적인 스피드, 급속한 감속, 혹은 점프와 같은 동작이 요구되는 스포츠나 활동들에서 흔히 나타난다. 여러 연구들을 햄스트링 근육들 중에서 반막양근, 반건양근에서도 햄스트링 좌상이 일어나지만, 대퇴이두근이 가장 흔하게 손상되며 이 손상은 보행 유각기 마지믹의 원섬성 단계 동안 발생히는 경향이 있다고 한다. 싱글 레그 스탠스 자세 테스트에서 통증을 호소하지 않는 사람들과 비교해서 천장관절에 통증을 느끼는 사람들은 복횡근과 다열근보다 대퇴이두근과 장내전근의 사전 활성이 나타났다. 이는 허리골반고관절 복합체의.. 2022. 9. 8.
하지에서 흔히 일어나는 부상 - 1 하지에서 흔히 일어나는 부상 2002년에 이루어진 한 연구에서 약 2,000여명의 사람이 딜리기로 인해 부상을 입었다고 보고했다. 주로 슬개대퇴동통증후군 과사용으로 인해 가장 흔히 발생하는 부상이며, 다음으론 장경골인대마찰증후군, 족저근막염, 무릎 반월판 손상, 그리고 무릎건염이 그 뒤를 따르고 있다. 이러한 부상들은 또한 사이클링, 트레드밀 혹은 실외에서 걷기와 같은 유산소 훈련들에서 흔하게 발견 되는데, 이런 형태의 운동들은 같은 동작을 반복적으로 수행한다. 하체 역학사슬에 영향을 미치며, 흔히 발생 하는 여러 형태의 과사용에 따른 부상들이 있다. 그 원인이 중복되긴 하지만, 이러한 부상에 이르게 하는 다양한 원인들이 존재한다. 이러한 부상 은 장경골인대증후근, 슬개대퇴동통증후군, 관절순 파열, 햄스.. 2022. 9. 8.
하지 패턴에서의 기능부전 하지 패턴에서의 기능부전 일상적인 하지 움직임 패턴에서 여러 가지 움직임 기능부전을 찾을 수 있다. 이러한 기능부전의 모습에는 척추의 중립적 위치 안정성과 몸을 앞으로 숙일 때 골반을 전방으로 회전시키는 능력의 손실, 전두면의 고관절안정성 손실, 안정적인 골반의 위치(수직, 수평에서의 바른 위치) 상실, 그리고 편측 혹은 한 다리로 선 자세를 취할 때 안정성 손실이 있다. 1. 중립 척추 안정성 손실 몸을 앞으로 숙일 때 요부 골반 정렬을 중립 위치로 유지하는 것을 어려워하는 모습은 흔하게 보인다. 사람들은 런지 자세로 앞을 향해 몸을 뻗을 때 흔히 자신의 척추에서 가장 잘 움직이는 부분을 통해 몸을 구부린다. 이 부위는 고객이 이미 통증을 느끼고 있는 곳이거나 앞으로 통증이 발생할 수 있는 곳일 가능성.. 2022. 9. 7.
고관절 복합체의 근육 허리골반고관절 복합체의 부가적 근육들 전에서 설명한 근육 이외에, LPH 복합체를 서포트하는 많은 부가적인 근육들이 있다. 햄스트링 햄스트링은 다음 4개의 근육들로 구성된다. 대퇴이두근, 반건양근, 반막양근, 대퇴이두근은 좌골 결절의 상부, 내측에서 시작하는데 반건양근과 기시점이 같다. 이 배열은 '고삐 처럼 작용히고 무릎에서 몸의 먼 쪽 움직임 조절력을 키워 천장관절의 안정성을 증가시킨다. BF는 죄골 결절인대와 근막적 결합을 하고 반대쪽 척추기립근과 흉요근막의 깊은 부분과 연결되어, 심부 종적 사슬을 룬다. 심부 종적 사슬은 흉요근막을 긴장시켜 천장관절의 안정성을 증가시키는 기능을 한다. BF는 천골결 절인대 쪽 부착부를 통해 움직임 감속 기능을 하는데, 만약 이 근육이 단축되고 타이트한 상태라면 천.. 2022. 9. 7.
고관절 복합체 - 4 고관절과 골반의 측면 안정성 메커니즘 1.측면 안정성 메커니즘의 근육들 대둔근 대둔근은 인체에서 가장 큰 근육으로 움직임에서 중요한 기능적 역할을 한다. 대둔근은 SI]에 수직적으로 붙어, SI]를 압박하는 섬유를 가진 유일한 근육이다. 대둔근의 부착점 중 뼈에 붙은 부분들(장골, 천골, 미골)을 제외하면, 이 근육은 근막적으로 흉요근막, 천장골인대, 그리고 둔근 조면에 부착한다. 이 근육의 부착부 중 ITB 의 뒤쪽에 붙는 부분은 안정화와 하지의 회내 동작 조절에서 핵심적인 할을 한다. 둔근은 흉요근막을 해 반대측에 연결되어 방사선사슬의 한 부분으로 기능하여, SI]를 압박 하면서 척추와 상 · 하지 사이의 회전력을 전달한다. 깁슨의 연구에서는 심부 미추골 섬유들은 관골구에서 대퇴부를 뒤쪽 방향으로 당.. 2022. 9. 7.
고관절 복합체 - 3 골반의 기능적 조절 관골구와와 그 안의 대퇴골두의 위치가 바뀌면 골반의 정렬 상태가 바뀌며 , 이는 직접적으로 고관절에 영향을 미친다. 골반의 전방 회전은 결과적으로는 고관절을 굴곡 상태로 회전은 신전 상태로, 후방 회전은 신전 상태로 만든다. FA관절의 중심화를 유지하는 핵심은 골반의 중립 위치를 만들고 유지히는 것이다. 골반 정렬 상태를 중립으로 만드는 것은 LPI 복합체에 적용되는 짝힘이 적절한 길이와 장력의 관계를 만드는 것이다. 전상장골극과 치골 결합이 같은 수직선에 위치할 때 골반은 중립 정렬 상태에 있게 된다. ASIS 가 PS보다 앞으로 나와 있을 때, 골반은 전방 기움 상태(전방회전)에 있다. 또한 ASIS 가 PS보다 뒤에 있을 , 골반은 후방 기움 상태(후방 회전)를 취하고 있다. 고.. 2022. 9. 7.
고관절 복합체 - 2 대퇴관골구관절 대퇴관골구관절은 흔히 '고관절'로 불리는 관절로, 전형적인 볼 소켓 형태의 관절이다. 이 관절은 대퇴골두와 골반의 관골구로 구성된다. 어깨의 관절와상완관절과 유사하게, FA관절은 모든 해부학적 움직임 면에서 움직임이 일어나는 다중 움직임 축을 가진 관절이다. 즉 시상면에서의 굴곡과 신전, 전두면에서의 내전과 외전, 그리고 횡단면에서의 내회전과 외회전이 발생한다. 또한 두 개 혹은 세 개의 움직임 면에서의 동작들이 복합적으로 합쳐서 비스듬한 움직임을 만들 수 있다. 그러나 구조적으론 어깨관절과 유사하나, 고관절의 경우 가동성을 희생하여 안정성을 높인다는 점이 장점이다. 고관절의 안정성은 여러 요소들로부터 확보되는데, 가장 널리 알려진 것은 바로 관골구의 깊이와 달 모양의 관골구순이다. 관골구.. 2022. 9. 7.
고관절 복합체 - 1 고관절은 구조적으로는 인체에서 가장 단순한 관절 중 하나지만 그 기능은 결코 단순하지 않다. 아이러니 하게도 허리와 무릎의 기능부전과 고관절 사이에는 복합적이고 밀접한 관계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재활과 트레이닝에서는 종종 그 중요성을 간과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선수의 퍼포먼스를 위해 파워를 만드는 작업에서도 이상적인 고관절 역학 상태를 만드는 것이 중요하지만 많은 트레이너들이 그 점을 잊고 있다. 고관절이 힘을 만들어내는 곳으로 여겨지는 대신에, 종종 최대 힘 생성과 감속에 대한 인체의 요구를 해치는 것으로 생각 되고 있다. 허리골반고관절 복합체의 구조 어깨에 대해 논의할 때 흉곽을 제외할 수 없듯이, 고관절에 대해 설명할 때도 요추와 골반을 빼놓고는 고관절에 대해 완전히 이해할 수 없다. 어깨관절 복합.. 2022. 9. 7.
728x90